인체정보
- 정의
- 심장 내에 위치하여 혈액이 일정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. 심장의 판막은 삼첨판, 승모판, 폐동맥판, 대동맥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
- 위치
- 심장의 판막은 심장 내에 위치합니다. 
 ▶삼첨판: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
 ▶폐동맥판: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
 ▶승모판: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
 ▶대동맥판: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
- 구조
- 삼첨판과 폐동맥판, 대동맥판은 3개의 첨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승모판은 2개의 첨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그리고 삼첨판과 승모판에는 판막아래 구조를 지지하는 낙하산 모양의 인대와 유두근이 있으나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에는 이런 구조가 없습니다. 
- 기능
- 심장 내의 혈액 순환에서 혈액이 역류되지 않고 일정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- 삼첨판 -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하여 우심실의 혈액이 우심방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. - 폐동맥판 -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위치하여 혈액 역류를 방지해줍니다. - 승모판 -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여 좌심실의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. - 대동맥판 -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여 혈액 역류를 방지해줍니다. 
- 헬스팁
- 판막이 열고 닫히는데 문제가 생기면 판막 질환이 발생하는데, 판막이 제때 잘 열리지 못할 경우를 협착증, 제때 잘 닫히지 못하여 혈액이 역류되는 경우를 폐쇄부전증이라고 합니다.  
 판막 질환이 발생했을 경우 심장의 부담을 줄이고 증상을 호전시키는 약물치료를 할 수 있으나 이는 증상완화지 근본적인 치료가 아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심장 판막 수술은 자신의 판막을 보존해서 수술하는 판막성형수술과 인공판막으로 대체하는 판막치환수술이 있습니다.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![멈춰가는 심장을 살리기 위해, 매일 치열한 사투를 벌이다 [심장내과 중환자실(CCU) 전담의사 편 - 하루;병원에 사는 사람들] 미리보기](https://img.youtube.com/vi/4hHIG5i-8S0/mqdefault.jpg)

![[심장지킴이2023] 대동맥 판막 질환의 치료 미리보기](https://img.youtube.com/vi/DsjQbF0Mn3I/mqdefault.jpg)
![[심장지킴이2023] 대동맥질환의 치료 미리보기](https://img.youtube.com/vi/mMVx-ylpVPM/mqdefault.jpg)















